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신소재공학 전공

인쇄하기
학과소개
  • 학과위치 : 제1공학관 4층
  • 대표전화 : 031-220-2529
  • FAX : 031-220-2529
  • 업무시간 : 오전 9시 ~ 오후 5시 30분
홍보영상
전공소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신소재공학 인재양성에 필요한 교양 및 고분자 물질의 물리 . 화학적 성질, 신소재합성, 스마트소재설계, 기기분석 등의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전공 교과목들을 균형 있게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직접 실험실습/연구를 수행하고 졸업논문을 작성함으로써, 전공지식을 활용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전공의 미래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사회도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는 이 시점에서는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 깊이 있게 볼 줄 아는 이가 점점 더 많이 필요하다. 한편, 일상생활 소재부터 시작하여 전자 분야, 우주항공 산업에 이르기까지 기계화에 따른 산업혁명, 컴퓨터에 의한 전자시대를 거치며 이들을 이루는 기본재료로서 제 3의 기술은 혁신적인 재료의 개발이 촉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소재공학 전공은 미래지향적 인재를 발굴하고 전문인력의 양성으로 신소재의 개발을 이루고 나아가 보다 환경친화적이며, 고기능성 유기신소재를 제조하여 인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전공의 자랑거리

우리나라의 경우 완성품 제조분야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선두기업이 존재하지만, 재료분야에 있어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사실 많은 부분이 해외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지만, 국가와 기업차원에서 이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투자가 현재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료분야 관련한 많은 전문 연구 인력이 필요한 현실이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앞으로도 연구개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에 필수적인 학문분야이다. 따라서 본 전공은 미래의 경쟁력을 키우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며, 직업을 선택하는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별프로그램
  • MEC 프로그램 운영
  • 하계 어학연수(학교지원)
  • 영어교육(토플, 토익 등)
  • 정부주도 기술개발사업 참여 기회 및 연구 참여시 장학금 지급
동아리

늘품 (취업 동아리) : [늘품]이란 뜻은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이나 품성]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늘품]에서는 전공과 관련한 기본 지식 뿐 아니라 글로벌시대에 필수적인 영어 공부와 졸업 후 산업체에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정보를 나누는 자리를 제공한다. 학생들이 졸업할 시점에서는 뛰어난 전공 지식과 외국어 능력 뿐 아니라 훌륭한 인성을 가지고 사회에 진출을 할 수 있는 장을 열고자 하며, 조금 더 구체적으로는 일정 목표를 가지고, 효율적인 취업준비가 가능하도록 개개인의 취업역량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취업난 시대를 맞이하여 취업에 도움이 되는 경험과 정보 획득에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 본 동아리의 원칙이다. 수원대학교의 취업정보처와의 유대를 통해서도 동아리 활동이 전개되며, 또한 이러한 활동은 단지 취업뿐 아니라 진학을 위한 길잡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http://job.pnl.suwon.ac.kr

졸업 후 진로
  • 대기업 (최근 5년간 취업학생): 삼성전자(‘20 김온유), LG화학(‘19 엄현성), 동진쎄미켐(‘16 김준영), 한국전력(‘18 김진혁), 두산인프라코어(‘16 김하승), 현대첨단소재(’15 나효열)
  • 대학: Lingnan Normal University 교수(중국, ‘18 Dr. T. Gao)
  • 주요 중견기업: 동성화인텍, 강남화성, 세보MEC, 단석산업, 서흥, 케이씨텍, 인터플렉스, 신한다이아몬드, 대주전자, 한진화학, 바이넥스, 이녹스, 중부에스켐, 오공, 한국콜마, 삼화페인트, 신성엔지니어링, 다인정공, 상보, 코스맥스, (주) 후성, sgs코리아, 애경산업, 영인과학, 이엔에프, 일진제강, 제이준코스메틱, 코멕스카본, 경인화학산업, 코리아써키트, 회령산업 외 다수
  • 외국계대기업, 시험연구소: AkxoNobel Industrial, FITI 시험연구소, KOTITI
관련자격 및 시험

세부 분야의 기사 및 산업기사 자격 : 공업화학기사, 고분자제품제조산업기사, 화학분석기사, 가스산업기사, 위험물산업기사, 화학류 제조 기사, 섬유기사, 공업화학기술사, 화공기사, 화공안전기술사 등

본문 상단으로
홈페이지 만족도 및 개선사항 조사.
개선사항